나는 지금 네가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 알고 있다?
Mirror neuron의 발견
문득 바라본 친구나 가족, 가끔은 전혀 모르는 낯선 사람의 얼굴에서, 그 사람이 뭘 느끼고 생각하고 있는지 감이 올 때가 있다. 흔히 직감 혹은 육감의 형태로 다가오는, 이 근거를 댈 수 없는 앎의 근원은 뭘까? 이런 직감 혹은 육감으로 다가서는 다른 사람의 감정과 생각에 대한 이해는 의외로 과학적 근거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그중의 하나가, 인간은 그렇게 다른 사람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존재로 진화해 왔다고 말해주는 세포, mirror neuron의 발견과 의미다.
흉내는 다른 개체를 이해하는 첫 걸음
원숭이(monkey)가 다른 개체-사람이나 다른 동물의 동작을 흉내 내거나 바라볼 때, fMRI로 보면 유난히 왕성하게 활동하는 부위(F5: mirror neuron)가 있음을, 흉내와 깊은 인연이 있는 원숭이와 함께 실험을 하던 연구팀이 처음으로 발견한 것은 우연이 아닐 것이다. 이 발견에 이어, 원숭이의 뇌에서 발견된 mirror neuron과 같은 역할을 하는 neuron이 인간의 뇌에도 있음을 알아냈다. 하지만 특이하게도 인간에게서 발견된 뇌세포는 원숭이에게는 없는, 인간의 언어를 담당하는 Broca’s area와 연관되어 있다는 것이다.
언어는 어떻게 시작되었을까?
Broca’s area는 언어능력을 담당하는 부위로 알려진, 좌측 전두엽(frontal lobe) 내에 있다. mirror neuron의 Broca’s area와의 관련성을 놓고 보면, 간단히 말해, 인간은 다른 이간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존재라는 것이고, 이게 언어라는 매체를 통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어느 구절 하나 새로운 것이 없어 보이는 결론이다. 하지만 언어가 관찰과 모방에서 시작되었고, 인간은 사회적 존재로 진화해 왔다는 가설을 뒷받침할 수 있는 과학적 근거를 찾았다는 것 외에, 인간사회의 생성과 진화에 결정적인 역할을 해온 언어의 습득에 대한 연구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mirror neuron의 Broca’s area와의 연관은 충분히 흥미로운 발견이다.
언어습득 능력과 Mirror Neuron
언어습득이론은 언어의 발생과 습득과정에 대한 확실한 물적 증거가 없는 가운데, 1950년대 후반에 시작된 Noam Chomsky vs. B. F. Skinner의 공방으로, Skinner의 학습이론(conditioning)만으로는 어린아이들의 빠르고 광대한 언어습득 과정을 설명하기에는 부족하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한동안 Chomsky의 ‘Universal Grammar’ 이론이 언어학자들의 중심에 있어 왔지만, 여전히 어린아이들의 빠른 언어습득 과정을 똑 부러지게 설명할 수 있는 이론이 없다. mirror neuron 의 발견은, Chomsky의 생래적 언어습득이론에 의문점을 제시하면서 언어습득이론에 새로운 접근을 요구하고 있다 .
Discussion Point:
빠르게 변하는 사회에서 진리란 공동체의 의견일치인 지식일 뿐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