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5월 31일 화요일

What makes us who we are ②–Frontal Lobes

여성과 남성의 차이를 설명해 주는 한 factor, 의사결정과정
                                                                                                            그룹성향이 있다면, 그것은 왜 생기는가?
상황과 정도에 따라 달라지기도 하지만, 대체로 긍정적인 이미지를 풍기는 말, 개성개개인이 똑같아서 다른 사람의 생각과 행동을 예측할 있다면, 세상이 재미없어질 것이라는 말이 흔하게 쓰이는 요즘이다. 일리 있는 말이다. 하지만 개성 혹은 개인차가 너무 두드러져서 말이 통하지 않게 되면, 갈등이 시작되고 반목을 만드는 원천이 되기도 한다.

개인차가 논란을 일으키는 분야는 다양하나, 특히 편견을 만들어내기 십상인 집단적 정형화를 이끌어 내며 이야기를 펴나갈 때, 논란은 끝을 보이지 않는다. 예를 들자면, '여자는 공간지각 능력이 남자에 비해 떨어진다'와 같은 것이 있다. 여기서 말하고자 하는 것은, 그런 말의 옳고 그름이나 차이가 있고 없음을 따지자는 게 아니다. 차이가 있다면, 차이가 있으며, 차이가 어떻게 현실에 반영되며, 그 반영된 현실을 어떻게 받아들이느냐는 것이다. 차이가 어디에서 오는지에 대해서도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다. 인간의 정신작용과 행동에 대한 최근 연구를 뒤적여 보면, neuroscience 시각에서 바라보는, 개개인의 특성을 뇌의 구조 화학작용의 차이에서 설명하고자 하는 시도가 눈에 띈다. 중에 하나, 인간의 특성 개인차를 설명하는데 frontal lobes 중점적으로 다루는 골드먼(Elkhonon Goldberg, The Executive Brain) 따르면, 남성과 여성이 때때로 서로 이해하기 힘든 행태를 보이는 것은, 여성과 남성은 같은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 다른 의사결정과정을 거치기 때문이라고 한다.

     의사결정과정에서 보이는 남녀차이
골드먼을 비롯하여, neuroscience 시각에서 개인차에 접근하는 연구에 따르면, 남성과 여성은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 뇌에 작용하는 화학물질의 작용메커니즘도 다르다. 여성과 남성을 집단으로 구분해서 실험을 해보면, 각기 같은 상황에서 비슷한 유형의 의사결정과정을 거치는 집단적 유사성을 보인다. 그 한 예로 골드먼의 실험(actor-centered decision making 간단히 말하면, 행위자의 우선순위에 따라 어떻게 의사결정을 하는가를 알아보는 실험)에 의하면, 여성은 벌어진 상황이 어떻든 상황적 영향을 거의 받지 않고, 일반적으로 자신에게 익숙한 패턴에 따라 의사결정을 내리는 경향이 있고, 남성은 상황에 따라 각기 다른 의사결정을 내리는 성향이 있다고 한다. 사안에 따라 나은 결과를 가져오는 의상결정유형이 달라지기 때문에, 일괄적으로 어떤 유형이 좋다라고 말할 없다. 실험에서 말하고자 하는 것은, 여성과 남성이 집단적으로 정형화할 있을 정도로 구별되는 의사결정과정을 거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런 차이는, 의사결정에 중추적 역할을 하는 frontal lobes 구조적 차이와 화학작용의 차이에서 온다는 것이다. 골드먼은 말한다. '차이가 있다는 것이 객관적 사실이라면, 이에 대한 가치판단보다는 그 사실을 현실을 이해하는데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Discussion Point: fact를 받아들이는 자세
과학적 관찰과 실험에 의해 fact로 알려진 사항은 다른 fact에 의해 대체될 때까지는 사실이라 받아들이는 게 보통사람이 할 수 있는 최선이다. 그 사실이 다소 불편할지라도 말이다.